[이장욱]“소설을 쓰는 건…길고 지루한 지뢰 매설 작업 같아”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이장욱]“소설을 쓰는 건…길고 지루한 지뢰 매설 작업 같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22-06-02 13:32 조회3,091회 댓글0건

본문

이장욱, 소설집 ‘트로츠키와 야생란’ 출간

맹렬한 겨울밤 영하 30도 추위 뚫고
바이칼호수 걸어서 건넌 경험 등 녹여
최근 2년 동안 쓴 단편 아홉 편 실어
삶과 죽음 연루된 작품 유독 많아

문단에서 드물게 시와 창작 병행
“시 쓰기는 수류탄 던지기에 가까워”

소설과 시 창작을 병행하는 작가 이장욱이 소설집 ‘트로츠키와 야생란’을 들고 돌아왔다. 그는 “삶의 감각이나 시선, 관점들이 서로 부딪치고 뒤섞이면서 충돌, 균열, 어긋남 같은 것이 발생하는 순간들을 느낄 때 소설을 쓰고 싶다”고 말한다. 이재문 기자

거센 눈보라가 몰아치는 풍경을 창문을 통해 바라보면서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르쿠츠크로 간 뒤, 승합차를 타고 4시간 반 정도를 달려서 지상에서 가장 넓고 깊은 호수인 바이칼호수에 닿았다. 얼음이 녹는 여름이었다면 보트를 타야겠지만, 그때는 호수가 꽁꽁 얼어 있어서 빙상차를 타고 호수 안의 섬으로 들어갔다. 섬의 숙박시설에서 2박3일 또는 3박4일 정도 지내다가 돌아오는 여행이었다.

여행이 끝나고 예매한 비행기가 출발하기 전날, 호수의 섬에서 나와 공항으로 가야 했다. 그런데 섬에서 뭍으로 나오는 마지막 빙상차가 그만 고장 나 버렸다. 비행시간을 맞추기 위해 호수 위를 걸어가라는 얘기를 듣고, 그는 아내와 함께 칠흑 같은 어둠과 영하 30도가 넘는 추위를 뚫고 바이칼호를 걸어 나왔다. 2015년 겨울 무렵이었다.

“어떤 것을 체험하거나 경험한다고 해서 곧바로 소설이 되는 건 아닙니다. 한참 시간이 지난 뒤에, 제 안에서 화학작용을 일으키고 다른 것들과 융합되고, 이런 과정을 거쳐 소설이 되더라고요. 이것도 실제 겪은 시기와 쓰인 시기가 좀 차이가 납니다.”


이미 러시아에서 1년 정도 체류 경험이 있던 그는 2015년 겨울밤 바이칼호수를 걸어서 건넌 경험을 모티브로 하고 많은 상상을 결합해 2020년 단편소설 ‘트로츠키와 야생란’를 써낼 수 있었다.

소설과 시 창작을 병행하는 작가 이장욱이 바이칼호수의 맹렬한 겨울밤 풍경을 극적으로 담아낸 ‘트로츠키와 야생란’을 표제작으로 한 소설집(창비)을 들고 돌아왔다.

그는 이번 소설집에 올해 이상문학상 우수작인 ‘잠수종과 독’을 비롯해 2020년부터 2년 동안 쓴 아홉 편의 단편을 담았다. 각 단편에는 연인의 죽음과 관계가 있는 방화범을 치료해야 하는 의사(‘잠수종과 독’), 죽은 클레오를 그리워하는 K(‘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귀에서 나무가 자라는 친척이나 귀가 유독 예쁜 애인(‘귀 이야기’), 걸핏하면 망상에 빠져드는 주인공(‘노보 아모르’) 등 다양한 질문을 품고 있는 인물이 나온다.

정교한 서사와 빼어난 문학성을 추구해 온 이장욱은 이번 소설집에서 독자와 무엇을 공유하고 싶었을까. 이 작가를 지난 26일 서울 용산 세계일보 사옥에서 만났다. 오랫동안 대학에서 글쓰기를 가르쳐 온 만큼, 질문에 대한 그의 답변은 빈틈이 없었다.

먼저 표제작 ‘트로츠키와 야생란’은 주인공 ‘나’가 환경단체에서 모함을 당해서 그만둔 뒤 산에 갔다가 추락한 ‘너’를 몰락시킨 ‘그자’를 찾아서 계단에 밀치는 복수를 한 뒤에 러시아로 도망치면서 시작된다. 바이칼호수 섬 안의 트로츠키와 류다 부부가 운영하는 곳에서 생활하던 나는 마침내 너에게 돌아가기로 마음먹고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밤 호수의 얼음길을 걷기 시작하는데. 제목은 리처드 로티의 에세이 제목에서 따왔다.

―작품 속의 야생란은 여러 의미와 역할이 있는 것 같다.

“소설에서 어떤 반복적인 오브제를 쓸 때, 그것의 상징적 의미를 미리 정해 두고 쓰지는 않는다. 오브제들은 감각과 직관의 측면에서 작동해야 한다. 오브제를 너무 도식화해 사용하거나 이해하면 문학작품을 이해하는 데는 역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야생란도 마찬가지다. 소설 속 인물들이 겪는 구체적 사건, 장소, 시간 속에서 각각 다양한 맥락으로 느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가령 산에서 발견한 야생란은 비극의 계기지만, 집 안을 메운 식물들은 어떤 유폐의 풍경이다. 원한 관계를 가진 인물이 발화하는 야생란은 와일드 오키드, 영화 제목이고. 트로츠키의 온실에 있는 식물은 또 다른 느낌일 듯하다.”

올해 이상문학상 우수작인 ‘잠수종과 독’은 교통사고로 숨진 연인 사진작가 현우의 사고와 연관이 있는 방화범 김정식을 치료해야 하는 의사 공의 고뇌를 그린 작품이다. 사적 복수도 가능한 공은 김정식의 목숨을 좌우할 주사기를 들고 서 있는데.

―의료 현장이나 의사의 모습이 구체적이다. 디테일을 어떻게 확보했나.

“쉽지 않았다. 알고 있는 의사가 있어서 집필 과정에 여러 번 도움을 받고, 나중에 다시 디테일에 대해 감수를 받았다. 제가 알 수 있는 게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한 번 검사를 받고 또 요청을 해서 다시 수정을 받고 했다.”

‘유명한 정희’는 신경정신과 의사인 ‘나’의 어릴 적 친구로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장교, 군무원을 거쳐 업자가 된 뒤 큰 부를 이루지만 기독교를 만나 태극기부대가 돼 극단의 선택을 하는 곽정희를 그린 이야기다.

―곽정희 모델이 있는지.

“저의 경우, 현실의 모델을 염두에 두고 소설 인물을 구상하진 않는다. 현실에 실제 모델이 되는 인물이 있으면 아예 인물을 바꿔 버린다. 곽정희 역시 실제 모델이 있지 않다. 곽정희의 경우 박정희 시대의 전형적인 캐릭터 가운데 하나가 아닌가 생각된다. 다만 곽정희라고 하는 인물 캐릭터의 내면이 더 중요했다.”

―이번 소설집에 죽음과 삶이 연루된 작품이 유독 많은 이유는.

“삶과 죽음, 기억의 문제는 저만의 소재나 주제라기보다는 문학 보편의 소재라고 볼 수 있다. 과거에 다룬 삶과 죽음 또는 기억과 달라진 게 있다면, 이번 소설들은 시대적 변화나 역사적인 문제들과 더 밀접하게 연관됐던 것 같다. 2010년대 이후 역사적인 흐름 같은 것들이 격렬하게 변화해 왔고, 이런 것들이 저도 모르게 반영된 게 아닌가 생각된다.”

이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그렇겠습니다. 세상에는 살아 있는 사람보다 죽은 사람이 훨씬 더 많다. … 그런 마음으로 살아가다 보면 일상생활에 바쁘다가도 어이없이 한가해지고, 차가운 마음이다가도 세상 모든 것이 문득 사랑스럽게 느껴지기도 하겠습니다”(297쪽)라고 말했다.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난 이장욱은 2005년 문학수첩 작가상을 받으면서 소설가로 등단했다. 등단 이후 소설집 ‘고백의 제왕’ ‘기린이 아닌 모든 것’ ‘에이프릴 마치의 사랑’을, 장편소설 ‘칼로의 유쾌한 악마들’ ‘천국보다 낯선’ ‘캐럴’ 등을 펴냈다. 문지문학상, 김유정문학상, 젊은작가상 등을 수상했다. 그는 소설가로 활동하기 11년 전인 1994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에 시가 당선돼 먼저 시인으로 활동해 왔다. 시집 ‘내 잠 속의 모래산’ ‘정오의 희망곡’ ‘생년월일’ ‘영원이 아니라서 가능한’ 등을 펴냈다. 2014년부터 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문단에서 드물게 소설과 시 창작을 병행하고 있는데.

“시는 수류탄 던지기에 가깝고, 소설은 길고 지루한 지뢰 매설 작업과 비슷하다고 느낀다. 때로는 둘 다 적군이 자기 자신이라서 당황하기도 한다. 시는 밤의 장르, 소설은 낮의 장르라고 비유하기도 한다. 실제로 밤낮을 구분해서 쓰는 건 아니지만. 오랫동안 시와 소설을 동시에 쓰면서 이제 시와 소설의 구분이 확실히 되는 것 같다. 소설에겐 좀 미안하지만, 소설이나 소설가는 직업의 이름이고 시나 시인은 직업이나 청탁과 무관하게 평생 하겠구나 하는 믿음이 있다. 시는 삶의 구체적인 생활 바깥의 글쓰기라면, 소설은 직업이라는 느낌이 있다. 시는 인간의 일이고, 소설은 소설가의 일이라는 느낌이 있다.”

당장 닥친 마감을 생각해야 하는 처지여서 장기 구상도, 죽고 나서 어떤 작가로 기억된다는 것도 별로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말하지만, 그럼에도 그는 늘 바쁘다. 왜냐하면 그는 ‘지루한 지뢰 매설 작업’(소설 쓰기)은 물론, 치열한 대치 속에서 끊임없이 ‘수류탄 던지기’(시 쓰기)도 늘 하고 있으니까. 더구나 벌써 경장편소설을 쓰고 있으니까. 그것에 온통 사로잡혀서.

그러면서도 현장의 작가기에, 그는 작가적으로 늘 걱정하고 고민한다. 벌써부터 글이 잘 써지지 않는다고 걱정하고, 쓰고 나서는 또 강박적으로 쓴 글을 혐오도 할 것이다. 이렇게 후진 걸 누가 읽지, 이거밖에 안 되나, 소설 정말 못 쓰는구나, 창피하다고. 그리하여 우리는 홀로 마시는 술잔 속에서 도저한 자기혐오를 완화하고 최소한의 자기애정을 상승시키면서 휘청휘청 걸어 나오는 그를 만날 것이다. 여전히 펜을 꽉 쥔.


이장욱 시인, 동국대학교 국어국문ㆍ문예창작학부 교수

세계일보 2022년 5월 31일 

http://www.segye.com/newsView/20220531516304?OutUrl=nave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