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이 다케시] ‘유희’를 떠올리며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후지이 다케시] ‘유희’를 떠올리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7-06-08 16:16 조회35,411회 댓글0건

본문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96547.html


이양지라는 소설가가 있었다. 지난 5월22일이 그가 세상을 떠난 지 25년이 되는 날이었다.


일본에서 나고 자란 그는 일본의 대표적 문학상인 아쿠타가와상을 받기도 해서 1980년대 후반에는 한국에서도 꽤 많이 알려져 있었다. 그의 소설들도 당시에는 모두 번역되었지만, 이제는 다 절판돼서 그 책을 보려면 헌책방이나 도서관에 갈 수밖에 없다. 어떻게 보면 이미 잊힌 존재에 가깝지만, 그가 남긴 작품들은 지금도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


다른 재일조선인 작가들과 달리 이양지는 등단한 1982년부터 사망한 1992년까지 대부분의 시간을 서울에서 보냈다. 그의 작품들도 대부분 서울에서 집필되었다. 초기작들은 일본에서 지내던 시절의 자기 경험을 바탕으로 한, 어찌 보면 전형적인 ‘재일조선인 문학’이었지만, 어느 시점부터 작품의 소재도 한국에서 생활하는 ‘모국 유학생’으로 변해간다. 그 계기는 아마도 한국어 번역이었다. 일본 문단에서 주목을 받으면서 한국에서도 그의 작품이 번역되기 시작했는데, 그때부터 그는 일본 내의 소수자로서 재일조선인을 그리는 데 머무르지 않고 한국에 와도 소수자가 되는 재일조선인들의 모습을 그리게 되었다. 그는 계속 일본어로만 썼지만 그가 염두에 둔 독자는 어쩌면 ‘한국인’들이었다.


한국에 와서 무시당하거나 소외감을 느꼈다는 재일조선인들은 많다. 이양지도 그랬지만, 일본에서 차별에 맞서기 위해서는 민족 정체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그들이 품게 되는 ‘조국’에 대한 마음은 ‘본국인’, 즉 한국에 사는 한국인이 생각하는 그것보다 활씬 강하다. 그런데 막상 ‘조국’에 와보면, 왜 말도 못하냐는 핀잔을 듣고, 또 ‘일본인’ 취급을 받아 상처를 받는 일이 흔하게 벌어진다. 특히 이양지가 한국에서 지냈던 80년대에는 재일조선인에 대한 이해가 지금보다 훨씬 부족해서 그는 ‘조국’에서도 이방인임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감정이 그가 모국 유학생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을 쓰게 된 동기였을 것이다.


사실 일본에서 차별받는 재일조선인들의 이야기는 한국에서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강화시키면서 소비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재일조선인들의 이야기는 그 ‘한국인’이라는 범주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같은 한국인’이라는 의식이 결코 자명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나는 것이다. 외국인을 대할 때보다 재일조선인을 대하는 ‘한국인’의 태도가 덜 관용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재일조선인들은 ‘한국인’이라는 규범을 혼란시키기에 불편한 존재로 여겨지는 것이다. (후략)



후지이 다케시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한겨레, 2017년 5월 28일)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96547.html#csidxcd15184036569fea3bc75d5c614a8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