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이념의 '앙시앙 레짐'을 털어내라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김대호] 이념의 '앙시앙 레짐'을 털어내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2-01-11 11:02 조회18,338회 댓글0건

본문

나이가 들면 몸이 노화된다는 것만큼이나 확실한 것은 생각이 경화(硬化)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몸의 노화에 대해서는 매우 우려하면서도, 생각의 경화에 대해서는 별로 우려하지 않는다. 한국사회는 식민지, 전쟁, 기아, 폭압 등 혹독한 경험과 개인적, 집단적 성공 신화로 인해, 또 분단으로 인해 1950년대와 80년대에 형성된 생각의 기본 틀이 의외로 강고하게 유지된다. 그래서 선진국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대립, 갈등이 많다. 한국 보수를 떠받치는 주력 세대들의 뇌리에 박힌 생각의 기본 틀은 좌익과 우익, 북한과 남한, 안정과 혼란, 개방 경제와 폐쇄 경제의 대결 구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생각이 경화된 노인들은 현재의 야권과 여권, 진보와 보수의 대립 구도를 과거의 연장선 상에서 바라본다. 적화 통일이나 연북 통일에 대한 공포도 잦아들지 않았다. 생뚱맞은 친북, 종북, 좌파 시비의 근원은 이것이다. 이 중에서 좀 심한 분들이 바로 태극기, 성조기를 휘두르고, 애국가를 부르며, 진보 단체의 집회를 폭력적으로 훼방 놓는 사나운 노인들이다. 물론 이들의 엽기적인 행위는 50년대를 전혀 알지 못하고, 지금의 대한민국이 북한보다 천만 배는 나은 나라라고 생각하는 중년, 청년 좌파들을 아연실색하게 한다.

 

그런데 오래 전에 유효성이 다한 생각의 기본 틀을 재개발, 재건축하지 않음으로써 일어나는 패악은 일부 노인들만의 얘기가 아니다. 이들과 동렬에 놓을 정도는 아니지만, 70년대 중반에서 90년대 중반까지의 꽤 성공적인 학생운동, 노조운동, 농민운동, 교수ㆍ교사ㆍ언론 운동 등을 통해 생각의 기본 틀이 형성된 중년 세대들의 문제도 여간 심각하지 않다. 민주ㆍ진보를 든든하게 떠받치는 이들 중년들의 뇌리에 박힌 기본 대결 구도는 친일, 친미 부역세력과 그 후예들인 독재, 매판재벌 세력과 민주, 민중, 자주 세력의 대결이다. 자본과 노동의 대결도 바로 그 뒤에 있다. 이렇게 생각이 굳어진 사람에게는 노조가 주창하는 가치, 즉 정리해고 반대, 노동 유연화 반대, 여건이 허락하는 한 신의 직장 만들기는 정의고 선이다. 노동자, 농민, 빈민, 여성, 장애인 등 모든 억눌린 자들의 권리ㆍ이익추구도 선이다. 시장, 개방, 경쟁, 유연화, 친미 등의 전향적인 태도는 보수의 것이고, 그 반대는 진보의 것이다. 이런 생각들은 청년들과 상식인들을 아연실색하게 한다. 그래서 지금은 많이 퇴색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조금도 약화되지 않은 생각의 '앙시앙 레짐'(ancien regime)도 있다. 그것은 선과 악, 아군과 적군이 자명하다고 보고, '문제는 힘'이라는 사고방식이다. 이는 '선' 들간의 연대, 연합, 통합과 대중 참여를 최상위 가치로 놓게 한다.

 

실제 이명박 정부 출범 이래 야권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 가치는 바로 이것이다. 총선, 대선 승리를 위한 전략전술은 치열하게 고민하지만, 5,000만명이 사는 거대한 국가를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 단적으로 고용률을 어떻게 올리고, 산업경쟁력을 어떻게 제고할지 등은 뒷전이다. 실제 내놓는 대안(비전)도 너무나 부실하다. 하지만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는다. 은연 중에 저들이 하는 나쁜 짓만 안하고, 권능은 아래로 내리고(탈권위, 분권, 자율), 도덕적 신뢰 위에서 각계각층과 널리 소통하고, 공무원의 양심과 능력을 믿고, 복지와 남북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면 진보의 태평성대가 열린다고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대한민국의 고용, 산업, 교육, 공공, 부동산, 남북관계 문제 등이 그렇게 만만할까. 따지고 보면 사회주의의 몰락, 북한의 참상, 노조운동의 짙은 그늘, 일 하나는 잘 하리라 믿었던 이명박 정부의 좌절과 실패는 생각의 구도심 재개발을 요구하는 대화재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흉물이 된 구도심을 새로운 도시로 변모시키려는 움직임은 약하다. 이들의 한계, 오류에 대한 깊은 성찰은 빈곤하다. 먼저 이념의 앙시앙레짐을 재건축하는 쪽이 이긴다.


김대호 사회디자인연구소장
(한국일보. 2012. 1. 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